카테고리 보관물: 미술
그래피티
위대한 그림들, 화가의 질병 덕분?
[동아일보]《위대한 회화는 질병의 산물이었을까. 최근 17세기 네덜란드의 화가 렘브란트는 눈동자가 바깥쪽으로 몰리는 ‘외(外)사시’였으며 이 때문에 렘브란트가 명화를 그릴 수 있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또 프랑스의 인상파 화가 클로드 모네의 ‘수련(睡蓮)’은 화가가 말년에 백내장을 극복한 성과라는 설명이 유력하고, 19세기 네덜란드의 화가 빈센트 반 고흐의 ‘해바라기’에 나타나는 불타는 황색은 그가 즐긴 술의 부작용 ‘덕분’이라는 주장도 있다. 유명한 그림을 통해 화가의 질병을 연구한 사례를 살펴보자.》▽입체를 캔버스로 옮기는 데 사시가 유리=미국 하버드대 의대 신경생물학과 마거릿 리빙스턴 교수는 렘브란트의 자화상 36점을 분석해 오른쪽 눈과 왼쪽 눈이 서로 다른 곳을 바라보고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즉 렘브란트의 왼쪽 눈은 정면을 향하는 반면 오른쪽 눈은 정면에서 평균 10도가량 바깥쪽을 향하는 외사시임을 밝혀냈던 것.
이번 연구결과는 의학전문지 ‘뉴잉글랜드 저널 오브 메디신’ 9월 16일자에 실렸다.
리빙스턴 교수는 뉴욕 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렘브란트가 외사시라서 사물을 입체적으로 볼 수 없었지만 오히려 3차원 현실을 2차원 캔버스로 옮기기 쉬웠다”고 설명했다. 실제 그림 그리는 법을 배울 때 한쪽 눈을 감도록 해 입체적 장면을 평평한 화면에 그리는 능력을 키우는데, 렘브란트는 이럴 필요가 없었다는 것.
또 리빙스턴 교수는 유명화가 53명의 사진을 조사해 샤갈, 피카소 등 14명이 사시라는 점을 확인하기도 했다.
▽고흐의 해바라기에 술이 일조?=1990년대부터 미국 의사 중 일부는 미술작품에 나타난 특징과 화가의 병을 연결시켜 논의해 왔다. 특히 이들은 고흐가 뇌종양, 백내장, 조울증, 정신분열증, 마그네슘 결핍 등 100가지가 넘는 질병을 앓았다고 주장했다.
한성대 미디어디자인학부 지상현 교수는 “고흐의 그림 일부에는 소용돌이 모양이 그려져 있다”며 “이는 고흐가 눈앞에 소용돌이가 어른거리는 질병인 색소성 망막염을 앓았다는 증거”라고 말했다.
또 고려대 의대 법의학교실 문국진 명예교수는 “고흐의 그림 ‘해바라기’에는 불타는 노란색이 유난히 돋보인다”며 “이는 압생트라는 술을 즐기던 고흐가 사물을 볼 때 강한 노란색을 보게 되는 황시증을 앓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압생트는 약쑥을 증류해 만든 술로 시신경을 손상시키는 물질을 포함하고 있어 많이 마실 경우 색채 이상의 시각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모네의 백내장 vs 르누아르의 관절염=모네처럼 질병을 극복해 명작을 남긴 사례도 있다. 모네는 말년에 백내장을 10년 이상 앓다가 수술을 받았다.
수술 전 그의 그림에서는 물체가 흐릿하게 나타나고 노란 색채가 주를 이뤘다. 백내장 환자들은 노란색을 잘 보지만 파란색 계통은 잘 보지 못한다. 수술 후 모네는 4년 동안 그의 최고 작품으로 평가되는 연작 ‘수련’을 완성했다. 한편 프랑스의 화가 오귀스트 르누아르는 질병으로 인해 그림 스타일이 바뀌게 된 경우다. 문 교수는 “말년에 찾아온 류머티스 관절염 때문에 르누아르는 손가락이 변형돼 자유롭게 손을 쓸 수 없었다”며 “관절염을 앓기 전과 후의 비슷한 그림을 비교해 보면 이를 확인할 수 있다”고 말했다.
르누아르는 ‘목욕하는 여인들’이란 그림을 1884∼1887년과 1918, 1919년에 각각 남겼다. 이전 작품에는 드레스에 가려진 풍만한 육체, 윤기 나는 머릿결 등이 배경과 뚜렷하게 구별돼 있지만 관절염이 심해져 비틀어진 손가락 사이에 붓을 넣고 끈으로 맨 채 그린 이후의 작품에는 비만으로 굵은 뱃살을 지닌 여인들이 배경에 묻혀 보인다.
피카소의 달콤한 복수
네살배기 신동 화가 뉴욕 미술계 떠들썩
[중앙일보 2004-10-01 00:11]
네살배기 여자아이가 뉴욕 화단을 떠들썩하게 하고 있다. BBC 인터넷판은 29일 뉴욕주 빙햄튼에 사는 말라 올름스테드(4)가 추상화의 대가 바실리 칸딘스키나 잭슨 폴록에 견줄 만큼 놀라운 재능으로 주목받고 있다고 전했다.
이 꼬마 천재의 작품은 지금까지 25점이 팔렸으며 이를 통해 벌어들인 돈이 4만달러(약 4400만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말라가 붓을 잡기 시작한 건 두 돌이 되기 직전부터였다. 소일거리 삼아 아내의 초상화를 그리고 있던 아버지 마크는 딸이 옆에서 놀아달라며 귀찮게 굴자 딸의 주의를 딴 곳으로 돌리기 위해 붓과 물감을 쥐어줬다.
뜻밖에도 딸에게 붓과 물감은 장난감 그 이상이 돼버렸다. 이후 말라는 브러시와 주걱.손가락.케첩병 등 다양한 도구를 이용해 유화를 그려 왔다. 말라는 1일부터 뉴욕의 한 화랑에서 전시회를 연다. 화랑 대표 앤서니 브루넬리는 BBC와의 인터뷰에서 전시회에 소개될 10점 중 6점이 이미 팔려나갔다고 말했다.
그는 남은 4점도 8000~1만달러 정도의 가격에 팔릴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그는 "새 작품이 나오기만 하면 바로 사겠다는 사람이 일본인을 포함해 20명쯤 기다리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 소녀의 작품은 도저히 네살짜리가 그린 것이라고 믿기 힘들다"며 "색채가 생동감 있고 붓과 손가락의 터치가 대단히 표현력이 풍부하다"고 칭찬했다.
그는 말라가 성인이 된 후에도 화가로서 재능을 보일 것 같으냐는 질문에 "아무도 단언할 수는 없지만 지난해부터 지켜본 바로는 작품 수준이 날로 나아지고 있다"고 대답했다.
피카소의 달콤한 복수
그림 하면 밀레의 만종이나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모나리자 정도는 돼야 한다고 믿는 미술 애호가들. 그러나 설치니 퍼포먼스니 말도 뜻도 어려운 작품을 보고 `시대 정신을 담은 탁월한 작품`이라는 평론가의 평에 주눅이 들어온 미술 대중. 디자인 하우스에서 나온 <피카소의 달콤한 복수>는 이들의 심정을 후련히 대변해 주는 그런 책이다. 금속조각과 미술사를 전공한 유태인 미술학자 에프라임 키숀이 쓴 이 책은 요즘 `그림 같지 않은 그림`에 대단한 불만과 함께 그들을 공박할 이론적 틀을 갖고 싶었던 미술 애호가들에겐 안성맞춤이다.
`나는 오늘날 명성뿐 아니라 부까지 획득하게 되었다. 그러나 나는 나 스스로를 예술가로 생각지 않는다. 나는 단지 나의 시대를 이해하고 동시대의 사람들이 지닌 허영과 어리석음, 욕망으로부터 모든 것을 끄집어낸 한낱 어릿광대일 뿐이다` 피카소가 남긴 이 말에 용기백배한 저자는 앤디 워홀, 요셉 보이스, 프랭크 스텔라, 요셉 알버스 등 현대미술의 거장이라고 불리는 많은 미술가들을 거침없는 독설로 비판하고 있다.
`망가진 재봉틀과 몇가지 부엌집기들을 가지고 5분내에 현대적인 예술작품을 만들어내고 자신의 「콜라주」 옆에서 엄숙한 표정을 짓고 있는 예술가들은 고단수의 익살꾼`이라는 비난은 독창적 아우라(신기)를 상실한 예술가, 반짝하는 아이디어와 일회성 유행에 휩쓸려 다니는 현대미술가의 천박성을 비판하는 말이다. 이런 천박성은 관료집단화한 예술집단과 나름의 경제 논리로 무장돼 끊임없이 재생산되고 있다. `정작 미술계의 기득권을 유지하려는 가장 영향력 있는 세력은 엘리트 관료층과 모더니즘 사이의 은밀하면서도 막강한 동맹이며, 재원을 가지고 매스미디어에 막강한 영향력을 휘두르는 예술 마피아와 국회의원, 장관, 시장들 사이의 음모다.`
여기에 평론가들은 한술 더 뜬다. 작품 「부풀어오른 콘돔」에 대해서 `태아에 근접하는 파괴계수의 폭발을 예고하는 기하학적이고 몽유병자적인 의식의 형태`라고 말했다. 도무지 뜻이 와 닿지 않지만 대중들은 `반항`하기 어렵다. 키숀은 따라서 현대미술을 보기 위해 전시장을 찾았다면 크게 웃으라고 권한다. 현대 미술은 예술광대들의 장난질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시원하다. 하지만 반대로 그에게 묻고 싶은 질문하나. 현대미술에서 이런 도발이나 도전이 없었다면 20세기 미술은 여전히 신비화한 여성의 벗은 몸, 혹은 나른한 풍경화 외엔 별 대안이 없었을 텐데. 그는 과연 그런 미술세상을 원했던 것일까. 반성완 (한양대 독문과)교수의 번역이 매끄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