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니아와 팬의 차이

매니아와 팬을 나누는 기준이 무엇일까,,
잠깐 그런 고민을 할 때가 있었다.
한동안 혼자 생각을 해봤는데 결론은..

대상을 좋아하고 즐기는 태도이다.
매니아는 무언가를 좋아하는데 있어 자신을 끊임없이 괴롭히면서 좋아하고,
팬은 무언가를 좋아하는데 있어 순수하게 즐기는 입장인 것이다.
(이것은 어디까지나 내 경험과 주관에 따른 아주 단순한 결론이고,
사전적인 의미를 떠나 ‘매니아와 팬을 꼭 구분해 보아야만 할 때’ 적용시켜 볼 수 있다.)

매니아라고 하면 그 분야에서 자기가 모르는 사실이 있거나,
자기가 지나쳐버리는 경우가 생기면, 자기 자신을 무지 괴롭힌다.
‘아,, 그건 알아야돼, 이정도는 해줘야해,,’ 하는 강박관념이 생긴다.
나중에 그 대상이 되는것이 주체를 잠식해버리는 정도가 되면,
도대체가 그걸 진정 좋아하는것인지, 아니면 자신의 강박관념에 따른것인지,구별이 되지 않는다.
팬은 매니아보다는 단편적이긴 하지만, 무언가를 즐기고 좋아하는데 있어서 훨씬 맘이 편하다.

영화를 대입시켜보자.
영화 매니아라면 누구보다도 영화를 많이 보아야하고, 또 많이 알아야하고,
영화 하나를 보면 이 감독의 이전 영화, 그 이전 영화들에서 나오는 배우들,
또 그 배우들이 나오는 영화,,,,  끝없이 찾고 또 찾아내 이야기 할 수 있다.
배우와 감독 뿐만이 아닌 영화가 가진 사회적인 의미라던지, 메타포같은 것들까지도,
자기 나름의 분석과 개념과 취향을 갖게 된다.

얼마전 누군가가 그런 얘기를 했다.
“난 축구를 좋아하고 싶은데 이제부터 좋아하려니 안되겠어.
그거 또 유럽 축구의 역사부터 어떤 선수가 있었는지, 그런거 다 알아야될꺼 아니야.
이거랑 똑같지. 재즈를 즐기고 싶은데, 재즈의 그 깊이를 생각하면 그게 쉽사리 안되는거지”
그 얘기를 듣고 정말 의문이 생겼다.
아니 뭘 좋아하는데 일일히 다 알아야하나 그냥 좋으면 즐기면 되는거지.
그것도 다 그 사람의 매니아적인 기질 때문이지.
자신의 매니아적인 기질을 인정하는 눈치였다. ㅎㅎ
알만한 사람은 그가 진정한 영화매니아라는것을 인정할 것이다. 죽*주*님 ㅋㅋ

그럼 난 지금 내가 좋아한다고 말하는 것에 대해서 매니아인가?

쿠어스 필드

오늘 최희섭이 홈런 하나 추가했다. 시즌 6호 홈런!
근데 구장이 ‘투수들의 무덤, 타자들의 천국’으로 유명한 쿠어스 필드.
콜로라도 로키스의 홈 구장인 쿠어스 필드는 콜로라도의 팀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로키스!)
로키 산에 위치해 그 지대가 높은 관계로 공기가 희박해, 공기와 공의 마찰이 적어 비거리가 10m가량 더 나오는 구장이라고 한다. (근데 사진만 봐도 하늘과 가까워 보이지 않나?)
요즘 플로리다 선수들이 홈런이 뜸했는데, 오늘 1이닝에서만 홈런이 세개가 나온걸로 봐서도 얼마나 이 구장이 홈런포 구장인지 짐작이 가는군.
그 유명한 마이크 햄튼이 울고간 구장이기도 하지.
(근데 햄튼은 작년에 쿠어스를 벗어났는데도 올해 왜그러지? 0승 2패 방어율 8점대)
쿠어스 필드는 맛난 맥주인 ‘Coors’의 이름을 땄다는데,,, 아 맥주 마시고 싶다~~
ps. 다시 읽고 보니, 최희섭의 홈런이 구장빨이라는 말? ㅎㅎ Choi,, 계속 홈런쳐 그럼 믿어줄께.

로저 클레멘스

작년에 그대로 은퇴했으면 어쩔뻔 했어~~~~~? (전지현 모드로 ㅋㅋ)
오늘 선수 stat 페이지에 가보니 당당히 다승 1위에 등극한 로저 클레멘스.
앗, 오늘 이 아저씨 또 승 하나 추가했군.. 4승 마크다.
작년 은퇴 번복하고 불과 몇달만에 복귀(?)한 로저 클레멘스.
62년생, 노장 중 노장, 현역 선수들 중 통산 최다승을 보유.(314승)
MLB의 historical stats을 찾아보니 공동 15위다.
올해 20승 이상을 추가한다면 10위권 진입도 가능하다. 대~~단한 로켓맨..!

작년까지 양키스 선수였던 관계로, 그닥 좋아하지는 않는다. ㅎㅎ (괜한 Anti-Yankeesism ^^;)
그러나 현존하는 최고 투수라는 찬사는 아깝지 않다.
(요즘 랜디 존슨이 고전하고 있는 모습을 보면, 역시 나이란 괜히 먹는게 아니라는 생각이..)
그나이에 어떻게 저리 자기 관리를 잘 하는지, 놀라울 따름이다.

지난번 뉴욕에 갔을때, ESPN을 보니 로저 클레멘스와 배리 본즈가 만났다고 난리가 났다.
300승이 넘는 투수와 600 홈런이 넘는 타자가 만나는건 역사상 처음이었다나.
둘이 맞대결한 부분만 편집해 1라운드, 2라운드,, 해가면서 보여주었다.
(역시 미국애들도 유난은 떤다니까… ㅋㅋ
근데 굉장히 엄청난 대결인것처럼 보이는 ESPN의 편집 기술도 멋지긴 했다.)
본즈를 당당히 삼진 두개로 잡는 클레멘스의 투구를 보니 정말 대단하다는 생각뿐이었다.

아메리칸 리그에서만 쭈욱 있다가 올해 처음으로 내셔널 리그에 와서 타격까지 해야하는 판인데,
이 아저씨 타격도 만만치 않나보네.. 초반이지만 현재까지 기록 9타수 3안타 3타점.
지난 포스트 시즌때도 타석에 나와서 안타치는 모습을 보긴 했었다.

그는 은퇴를 번복하기도 했지만, 가족을 위해 집과 가까운 휴스턴 애스트로스를 택했다.
올 시즌 휴스턴에서 받는 연봉도 지금껏 받아왔던 연봉과는 차이가 나는 연봉이었던 듯..
그가 한창 복귀해야하나 고민하고 있을 때, 클레멘스의 아들들이 그에게 크리스마스 선물로
휴스턴 애스트로스의 모자를 주었다고 한다. 그 꼬맹이들이 휴스턴 팀 팬이라고.. ^^
한번도 우승을 못해본 휴스턴이 올해 우승 청부사들인 클레멘스와 페팃을 영입했는데,
과연 월드시리즈 무대에서 휴스턴을 볼 수 있을것인지, 벌써부터 궁금해진다면 너무 이른건가?ㅎㅎ

지금껏 볼 수 없었던 클레멘스의 타격 모습을 올려야지~~ He can hit too,,

배리 지토

오늘 지토가 무지 깨졌다. 배리 지토에 대한 기억?

내가 메이저리그에 관심을 갖기 시작한 건 2001년 포스트 시즌
악몽의 BK의 경기를 접한 후, (난 그후 BK의 광팬이 되었다. 지금은 시들해졌지만..)
그 이후 온갖 커뮤니티 게시판을 돌아다니며 쏟아지던 매니아들의 지식을 접했다.
그 중 배리 지토에 대한 많은 글들로 접한 그에 대한 지식은
젊은 선수들로 가득한 오클랜드란 팀의 역시나 ‘젊은’ 투수중 하나.

그리구 본격적으로 메이저리그를 접한 2002년, 그 시즌을 지나고나서 그가 사이영상을 수상했다.
오,, 78년생 젊은 투수가 그 대단한 투수들만이 받는다는 사이영상을 수상?
(그해 NL의 사이영상은 플레이를 보지 않고서도 그 키와 표정만으로도 카리스마가 철철 넘치는
랜디 존슨. 공 던지는 걸 보면 정말 무섭다. -_-;)

그가 너무 궁금해서 사이영상 수상했을 당시, 지토에 관한 기사들을 찾아보았다.
그 기사들을 단편적으로 기억해보면,,
그는 어릴때 아버지와 함께 야구를 하면서 자라고,
(많은 스포츠 선수들이 부모의 영향을 크게 받는것 같다)
슬럼프에 빠질때면 아버지를 생각하고 슬럼프를 극복했다고 한다.
문화적인 측면에서도 상당히 관심이 많아 영화에 대한 이야기나 음악에 대한 이야기도
인터뷰에서 빼놓지 않았다. 음악은 직접 연주를 하는 수준이고, (무슨 밴드에서 연주?)
좋아하는 배우나 영화에 대해서도 상당히 수준이 있었던것 같았다.
야구만 하는 애가 아니군, 생긴 것도 먼가 범상치않은 분위기가 풍기는게,, 넘 멋있게 보였다.
녹색양말 올려신는 그 농부 패션도 지토가 하니까 멋지다. (ㅎㅎ 난 역시 생긴거에 약한게야..)
팬이라고는 할 수 없지만, 좋아하는 투수인데,, 최근 무너지는 모습이 너무 많이 보여서
안타깝다. 아직은 젊은 그가 빨리 제모습을 찾는 날을 기다린다.

현재 성적 2-2 (6.26)
2003 성적 14-12 (3.30)
2002 성적 23-5 (2.75)

Virtual Insanity – Jamiroquai (Music Video)

Vitual Insanity – Jamiroquai

자미로콰이 신보가 나왔대서 Virtual Insanity 를 다시 들어보고,
(왠일인지 출근 길에도 라디오에서 우연찮게 듣게 되었다.)
Youtube에서 뮤비도 다시 찾아 보았다~!
역시 명곡에 걸작 뮤비다 ㅠ.ㅠ
10년 넘었는데 지금 봐도 아방가르드 하다.

손님이 없던 술집에서 이 음악에 맞춰 춤을 추었던 99년의 추억~ ☆

==========================================================
동영상 flv 파일은 여기 올려 놓은 거라 로딩이 느릴수도..
Flv, JW Player 참고 (좋은 정보 정리하신 블로거님께 감사)
 FLV 플레이어 활용하여 FLV 파일 재생하기